음양오행 길흉방위
10. 각종 음양오행의 길흉 방위 (各種 陰陽五行의 吉凶 方位)
음양오행에 따르면, 길흉방위는 다음과 같이 대략 10가지로 분류된다. |
귀인방은 등과급제(登科及第)하여 벼슬에 출사(出仕)하는 매우 길한 방위다. 풍수지리에서는 좌(坐)를 기준으로 귀인 방위에 용(龍)과 문필봉(文筆峰), 귀인봉(貴人峰), 고축봉(告軸峰) 등의 사격(砂格)이 있거나 물이 득수(得水)하면 매우 길하다. |
녹방은 부(富)를 상징하는데, 재물을 얻어 부를 누리는 매우 길한 방위다. 풍수지리에서는 향(向)을 기준하여 녹방에 풍만하고 원만한 부봉(富峰)이나 창고사(倉庫砂) 등이 있거나, 청정구곡수(淸淨九曲水)가 득수하면 매우 길하게 여긴다. |
역마는 속발부귀(速發富貴)를 상징하는 매우 길한 방위다. 풍수지리에서는 좌(坐)를 기준으로 역마방에 천마사가 있거나 또는 수려하고 특이한 사격이 있으면 매우 길하게 여긴다. |
삼길육수는 지극히 귀한 방위다. 풍수지리에서는 좌향(坐向)에 관계없이 아래와 같은 방위에 용맥과 수려 양명한 사격이 있거나, 득수처가 있으면 관직에 있는 사람은 권력을 얻고, 선비나 학자는 자리를 얻으며, 일반 백성은 재물을 얻는다고 한다. |
겁살은 지극히 흉한 살이다. 풍수지리에서는 좌(坐)를 기준으로 하여 겁살방에 용맥 또는 깨어진 산과 흉한 바위로 이루어진 사격이 있거나, 득수처가 있으면 살상(殺傷) 등의 극히 흉한 일을 당한다고 여긴다. |
건물이나 헛간, 변소, 축사 등을 지으면 안 좋다는 방위인데, 이 대장군 방위는 다음과 같이 3년마다 바뀐다. |
12포태법의 포, 태, 양,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 가운데 병, 사, 묘에 해당하는 년으로 사람의 출생 년에 따라 3년간씩이다. |
당년도 기준으로 12포태법의 포, 태, 양,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 가운데 포, 태, 양에 해당하는 방위다. |
이는 형벌을 받아 죽게된다는 일명 형륙수(刑戮水)라고 하는데, 물의 득수나 파구처가 모두 해당된다. |
향(向)을 기준으로 물이 득수하거나 파구되는 방위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이론이 분분하다. 들러오거나 나가는 물 모두가 황천살이라고 주장하는 학설이 있는가 하며, 들어오는 물만 황천수고 나가는 물은 황천수가 아니라는 학설도 있다. 반대로 들어오는 물은 황천수가 아니고 나가는 물만 황천수라는 주장도 있다. |